간암 치료 부작용 간암재발 간암전이 고주파 열치료술 표적항암제 넥사바
1. 간암 치료의 부작용
2. 간암 재발 및 전이
3. 간암 치료현황
1. 간암 치료의 부작용
1) 간 절제 수술 후
간은 다른 장기와 달리 재생력이 있어서 정상인은 80%의 간을 절제해도 남은 부분이 재생하여 간의 기능이 회복된다. 재생기간이 끝나면 환자는 건강한 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부의 회복기간 중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흔한 합병증으로는 창상 부위의 감염이나 출혈, 일시적인 담즙유출, 황달, 복수 등이 있다. 대부분 적절한 약물치료나 간단한 시술 등으로 쉽게 회복된다. 상당수의 간암 환자는 간 기능이 이미 심하게 저하되어 수술 후에도 회복되지 못하고 더 떨어질 수 있다.
실제로 간 절제술 후에 환자가 사망하는 주된 이유는 출혈과 패혈증, 간 기능 저하로 인한 간부전이다. 특히, 간부전은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므로 수술 전에 환자에게 남아있는 간 기능을 여러 방법으로 어느 정도 예측하기 때문에 실제로 생명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심한 간부전이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2) 간 이식 수술 후
이식 후의 감염은 생명을 위협하는 가장 위험한 합병증이다. 감염의 대부분은 수술 후 1개월 이내에 발생한다. 이 시기는 이식 장기에 대한 거부반응이 많이 발생하는 때이자 그에 대응하는 최고 강도의 면역억제요법(immunosuppressive therapy)이 시행되는 때이기도 한다. 합병증과 거부반응이 발생하기 쉬운 3~6개월이 지나면 면역억제의 강도도 낮추어지고 억제 약물의 여러 부작용도 감소한다. 이때쯤이면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꽤 생겨서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대기 이식 후 3~5년이 경과하면 면역억제제는 최소한으로만 투여하고 감염의 위험도 현저히 낮아진다. 그러나 바이러스에 의한 간염이 동반된 간암에서는 이식 후에도 기존 간염이 재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 관리가 필요하다.
3) 경동맥화학색전술 후
조영제에 과민반응(알레르기)을 보이는 경우가 있으며 이로 인해 두드러기, 가려움증, 호흡곤란, 혈압저하 등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시술 부위에 멍이 들거나 붓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대부분 수일 내에 자연적으로 좋아진다. 시술 후 조양의 괴사로 인해 색전술후증후군(식욕부진, 구토, 발열, 복통 등이 수일간 지속되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종양이 괴사된 부분에 농양(고름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복부 통증, 고열, 오한 등이 생긴다. 퇴원 후 이러한 증상이 생기면 즉시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4) 고주파 열치료술 후
이 시술은 감기 증세와 비슷한 합병증이 대부분이고 시술 후 2% 이내에서만 중증으로 발생한다. 치료한 부위에서 출혈이 있거나 감염과 농양(고름집)이 생길 수 있고 담관이 손상되기도 한다. 시술 과정에서 주위 다른 장기를 건드려 담낭염(쓸개염)이나 장 천공이 올 수 있으며, 혈관 손상으로 동맥류가 형성되거나 간의 경색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한 출혈 또는 장의 천공에 의한 복막염의 후유증으로 매우 드물게 사망하기도 한다.
5) 방사선치료 중과 그 이후
급성 부작용으로 전신 피로감, 식욕 감퇴, 오심(구역질), 구토, 설사, 속 쓰림, 피부 발적(빨갛게 부어오름), 가려움증, 간 기능 저하가 올 수 있으며, 만성 부작용으로는 간 기능이 영향을 받아서 생기는 방사선 간염 등이 생길 수 있다.
방사선 치료는 치료를 받는 부위에만 영향을 미치므로 치료를 받는 간 주변에 있는 정상 장기가 어딘가에 따라서 방사선 치료로 인한 부작용이 달라진다. 위와 십이지장에 가까운 부분이면, 방사선 치료로 인한 위염, 십이지장염이 생기고 치료 중에 메스꺼운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폐와 닿아있는 윗부분은 방사선 폐렴이 나타나기도 한다.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발생하므로 담당 의사와 면담을 통해 증상을 해결해 나가는 것이 좋다.
6) 항암화학요법
표적치료의 대표적인 표적항암제로 '넥사바'가 있다. 이 '넥사바'로 치료하는 경우 손과 발에 각질이 생기면서 벗겨지는 수족 피부 부작용이나 소양증(가려움증), 발진 등의 피부 부작용이 20~40%, 설사가 10% 정도 보고된다. 약제의 용량을 감량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표적치료제인 '스티바가'로 치료하는 경우, 부작용 양상이 '넥사바'로 치료하는 경우와 비슷한 경우가 많으며, 고혈압, 수족증후군, 피로감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렌비마'로 치료하는 경우, 고혈압, 설사, 수족증후군, 체중감소, 단백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세포독성 전신항암치료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항암제를 정맥으로 투여하는 것이다. 반면 표적치료제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는 것이 아니고 암의 성장 및 진행과 관련된 세포 신호체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제이다.
세포독성 항암치료의 경우 50% 정도에서 백혈구, 혈소판, 헤모글로빈 수치가 감소하고 10% 정도는 설사나 구토, 구내염, 전신 쇠약감 등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증상은 여러 가지 진통제나 항구토제, 위장관계 약물 등 대중적 요법으로 완화되고 입원기간 연장 등이 필요한 심한 독성은 3% 이내로 적은 편이다.
2. 간암 재발 및 전이
◎ 재발 및 전이
간암 자체는 초기에 치료하면 완치 등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간암 환자 대부분이 지니고 있으며 암 발생의 원인이 된 만성 B형이나 C형 간염, 간경변증 등의 질환은 여전히 남게 되고, 이들 때문에 나빠진 간 기능은 회복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최선의 치료를 하더라도 암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간암은 폐나 뼈로 전이가 많이 되므로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재발이나 전이가 되더라도 치료 방법을 잘 선택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만큼 어떤 경우에도 최선을 다한다는 마음가짐을 지녀야 한다.
3. 간암 치료현황
◎치료현황
대부분의 간암은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되는데다 간경변증 등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서, 수술이나 간 이식과 같이 완치를 바라볼 수 있는 치료는 대략 30% 전후의 환자에게만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오랫동안 간암은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우리나라 간암의 가장 흔한 원인인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효과적 치료제들이 널리 사용되고, 영상의학의 발전과 암 조기 검진 확대 실시가 맞물리면서 간암이 초기에 진단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여기에다 간 절제와 이식 기법의 고도화, 경동맥화학색전술과 고주파 열치료 등 국소 치료법의 발달, 새로운 방사선치료법과 표적치료제의 개발 등이 가세함으로써 간암의 치료는 말 그대로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다른 암종보다 전반적인 생존율이 아직 낮은 편이긴 하지만 과거에 비해서는 현저히 향상되어, 5년 상대생존율이 1993~1995년에는 11.8%에서 2016~2020년에는 38.7%로 올랐다. 서구의 해당 수치가 15% 전후임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간암 치료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수준이라 하겠다.
간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다음과 같다.
[간암의 5년 상대생존율 추이]
간암 | 1993~1995년 | 1996~2000년 | 2001~2005년 | 2006~2010년 | 2011~2015년 | 2016~2020년 |
남녀전체 | 11.8% | 14.1% | 20.5% | 28.3% | 34.4% | 38.7% |
남 | 10.8% | 13.8% | 20.4% | 28.3% | 35.0% | 39.1% |
여 | 15.1% | 15.1% | 20.9% | 28.3% | 32.8% | 37.6% |
한편, 미국국립암연구소에서는 SEER(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프로그램을 통해 "요약병기(Summary Stage)"라는 병기 분류를 개발했다. 요약병기는 암이 그 원발 부위로부터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범주화한 기본적인 분류 방법으로 그 병기 분류에 따른 5년 상대생존율은 다음과 같다.
[간암의 요약병기별 5년 (2016~2020년) 상대생존율 추이]
간암 | 국한 | 국소 | 원격 | 모름 |
남녀 전체 | 62.0% | 24.0% | 3.1% | 29.2% |
남 | 62.5% | 24.3% | 3.1% | 29.8% |
여 | 60.5% | 23.0% | 3.3% | 27.7%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암 식생활 간경변증 합병증 식사요법 신경전달물질 GABA NPO (53) | 2023.12.07 |
---|---|
간암 환자 생활가이드 일상생활 식생활 비브리오균 간경변증 간성혼수 (52) | 2023.12.07 |
간암치료 비근치적 치료 경동맥화학색전술 TACE Lipiodol 색전후증후군 (52) | 2023.12.03 |
간암 치료방법 간절제술 간이식 국소치료술 TNM (51) | 2023.12.01 |
간암 조기검진 증상 진단방법 진행단계 감별진단 감시검진 AFP 차일드퓨 (41)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