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담도암6

간내 담도암 진단 혈액검사 치료방법 3가지 조직검사 간절제술 간이식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목차 1. 간내 담도암 발생부위, 정의 및 종류 관련통계 2. 간내 담도암 예방 (위험요인, 예방법, 조기검진) 3. 간내 담도암 진단 (일반적 증상, 진단방법, 진행단계) 4. 간내 담도암 치료 (치료의 부작용, 재발 및 전이, 치료현황) 1. 간내 담도암 발생부위, 정의 및 종류, 관련통계 ▶ 발생부위 ■ 간의 기능 인체의 화학 공장으로 불리는 간은 체내의 다양하고 복잡한 물질대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수화물 대사, 아미노산과 단백질 대사, 지방 대사, 비타민 무기지로가 호르몬의 대사, 담즙산과 빌리루빈(bilirubin, 담즙의 색소를 이루는 물질) 대사 등을 맡고 있는가 하면 체내로 들어온 화학물질을 해독하고 침입한 세균을 파괴하며, 혈액응고인자를 합성하고 혈액량을 조절하는 등 숱.. 2024. 3. 31.
담도암 항암 치료 부작용 재발 발견 검사 5가지 담도암 생존율 1. 담도암 치료의 부작용 개요 2. 담도암 수술 후 부작용 3. 담도암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4. 담도암 방사선치료의 부작용 5. 담도암 재발 및 전이 6. 담도암 치료현황 7. 담도암 생활가이드 1. 담도암 치료의 부작용 개요 암을 치료할 때 정상세포와 조직을 손상하지 않고 순전히 암세포만 제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료 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부작용의 종류와 정도는 치료를 받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며, 심지어 한 치료와 그 다음 치료의 부작용도 다르기도 한다. 따라서 치료 계획을 세울 때는 부작용의 최소화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담도암은 담낭암과 마찬가지로 고령 환자가 많다. 수술 등 치료 후에 오심(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으로 인해 심한 탈.. 2024. 1. 31.
담도 암 진행단계 치료방법 암 환자 보험 말 기암 치료 방사능 치료 1. 담도암 진행단계 2. 담도암 치료방법 2-1. 담도암 개요 2-2. 담도암 수술적 치료 2-3. 담도암 항암화학요법 2-4. 방사선 치료 암 관련 정보 바로가기 ! 클릭 ! 1. 담도암 진행단계 담도암에서는 종양이 얼마나 크며 병기는 몇 기냐 하는 것이 다른 암종에서만큼 결정적인 지표가 아니다. 그보다는 종양의 위치, 주요 혈관이나 간내 담도 또는 주위 장기로의 침범 여부가 예후에 중요한 경우가 많다. 게다가 담도암은 성장 속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진행된 병기의 환자가 의외로 장기 생존하는 경우도 많아서 다른 암에 비해 병기 체계의 확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참고로, 각종 암의 병기 결정에 가장 많이 쓰이는 TNM 분류법에서 T(Tumor)는 원발 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나타내고, N(node)은 .. 2024. 1. 14.
담도암 진행단계 치료방법 림프절 방사선 치료 종양 항암제 1. 담도암 진행단계 담도암에서는 종양이 얼마나 크며 병기는 몇 기냐 하는 것이 다른 암종에서만큼 결정적인 지표가 아니다. 그보다는 종양의 위치, 주요 혈관이나 간내 담도 또는 주위 장기로의 침범 여부가 예후에 중요한 경우가 많다. 게다가 담도암은 성장속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진행된 병기의 환자가 의외로 장기 생존하는 경우도 많아서 다른 암에 비해 병기 체계의 확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참고로, 각종 암의 병기 결정에 가장 많이 쓰이는 TNM 분류법에서 T는 원발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나타내고, N은 주위 림프절로 퍼진 정도를, M은 다른 장기로의 전이(원격전이) 여부를 나타내며, 이 세 효소를 조합하여 병기를 1~$기로 구분한다. 2. 담도암의 치료방법 1) 개요 암의 치료방법은 종양의 크기, 위치, .. 2024. 1. 6.
담도암 발생부위 담도암이란? 예방법 위험요인 조기검진 biliary tree 담도암 발생부위 담도암이란? 예방법 위험요인 조기검진 biliary tree 1. 담도암 발생부위 2. 담도암 정의 및 종류 3. 담도암 관련통계 4. 담도암 위험요인 5. 담도암 예방법 6. 담도암 조기검진 1. 담도암 발생부위 지방의 소화를 돕는 담즙(쓸개즙)이 간에서 분비되어 십이지장으로 흘러 들어가기가지의 경로를 담도(쓸갯길, biliary tract)라고 하며, 간내 담도와 간외 담도로 나뉜다. 간 아래쪽에 붙어 있는 담낭은 담즙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창고 같은 곳으로, 담낭관이라고 하는 좁은 관을 통해 담도와 연결되어 있다. (담즙은 췌장에서 분비되는 췌액과 달리 소화효소가 없지만, 주성분의 하나인 담즙산이 지방질을 유화하여 소화, 흡수가 잘 되도록 한다.) 담도는 전체적으로 나뭇가지 같은 형.. 2024. 1. 3.
췌장암 발생부위 낭성종양 악성췌장종양 pancreas 췌장암 발생부위 낭성종양 악성췌장종양 pancreas 1. 췌장의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 2. 췌장의 기능 3. 췌장암 정의 4. 췌장암 종류 4-1. 췌장 낭성 종양 4-2. 악성 췌장 종양 5. 췌장암 관련통계 1. 췌장의 해부학적 위치와 구조 췌장 (pancreas)은 길이 약 15cm의 가능고 긴 장기이다. 위의 뒤쪽에 위치해 십이지장(샘창자)과 연결되고 비장 즉 지라와 인접해 있다. 췌장은 머리, 몸통, 꼬리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십이지장과 가까운 부분이 머리(두부)이고 중간이 몸통(체부), 가장 가느다란 부분이 꼬리(미부)이다. 머리 부분과 몸통 사이를 목(neck)이라 부르기도 한다. 췌장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췌장의 선방 세포에서 분비하는 췌액이 그것이다(선방 세포란 췌액.. 2023.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