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항암치료4

담도암 진행단계 치료방법 림프절 방사선 치료 종양 항암제 1. 담도암 진행단계 담도암에서는 종양이 얼마나 크며 병기는 몇 기냐 하는 것이 다른 암종에서만큼 결정적인 지표가 아니다. 그보다는 종양의 위치, 주요 혈관이나 간내 담도 또는 주위 장기로의 침범 여부가 예후에 중요한 경우가 많다. 게다가 담도암은 성장속도가 다양하기 때문에 진행된 병기의 환자가 의외로 장기 생존하는 경우도 많아서 다른 암에 비해 병기 체계의 확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참고로, 각종 암의 병기 결정에 가장 많이 쓰이는 TNM 분류법에서 T는 원발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를 나타내고, N은 주위 림프절로 퍼진 정도를, M은 다른 장기로의 전이(원격전이) 여부를 나타내며, 이 세 효소를 조합하여 병기를 1~$기로 구분한다. 2. 담도암의 치료방법 1) 개요 암의 치료방법은 종양의 크기, 위치, .. 2024. 1. 6.
대장암 치료방법 2기 3기 4기 면역항암제 표적치료제 대장암 치료방법 2기 3기 4기 면역항암제 표적치료제 ▶개요 대장암의 치료방법을 결정하는 데서 중요한 것은 종양의 크기가 아니라 종양이 조직을 침투한 정도이다. 대개 수술과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를 적절히 병행한다. 대장암의 병기별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장암의 병기별 치료 방법] 병기 치료방법 대장암 1기 근치적 수술(시술) 후 추가 치료없이 경과 관찰 결장암 2기 및 3기 근치적 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요법 직장암 2기 및 3기 근치적 수술 후 방사선 치료나 항암화학요법 (경우에 따라 병용) 또는 수술 전 방사선치료나 항암화학요범 (경우에 따라 병용) 대장암 4기 환자의 전신상태에 따라 항암화학요법 시행 필요한 경우 생명 연장을 위해 고식적 (완치가 목적이 아닌 상태 완화를 위한) 수술이나 방.. 2023. 9. 25.
위암치료 치료방법 내시경 복강경 위절제수술 위암수술 위암치료 치료방법 내시경 복강경 위절제수술 위암수술 ▶개요 일단 위암으로 진단되면 병의 진행 정도, 즉 병기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 병기는 완치 가능성을 예측하는 기준이기도 하다. 조기위암 중 크기가 작고 분화도가 좋은 경우에는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없어서 내시경(내시경 점막하박리술)으로 치료할 수 있다. 내시경 치료 기준을 넘어선 조기위암과 2~3기의 진행성 위암은 수술로 암과 주변의 림프절을 제거해야 한다. 암이 더욱 진행되어 위 주변 림프절이 아닌 멀리 떨어진 곳의 림프절에까지 전이가 되었거나, 복막에 파종이 되었거나, 간, 폐, 뼈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에는 국소적 치료 방법인 수술은 큰 의미가 없게 된다. 이 경우에는 온몸에 퍼진 암세포들에 두루 효.. 2023. 9. 17.
갑상선암 치료 항암치료 방사선조사 갑상선암 치료 항암치료 방사선조사 ◎치료방법 ▶개요 _ 갑상선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수술, 방사성요오드 치료, 갑상선호르몬 치료, 외부 방사선 조사, 항암화학치료 등이 있다. 갑상선암은 대부분 완치가 가능하고 예후도 좋으므로 갑상선암이 다른 곳으로 전이가 되었더라도 적극적인 치료를 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 _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수술이다. 절제 범위는 갑상선암의 종류, 크기, 환자의 나이와 병기 등을 고려하여 정하는데 갑상선 전절제와 엽절제로 나눌 수 있다. 전절제수술 후에는 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되지 않으므로 평생 이 호르몬을 보충해야 하며 엽절제를 한 경우에도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발생하면 갑상선 호르몬 보충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종양의 크기, 갑상선외 침범, 림프절 전이의 .. 2023. 9.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