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해충돌방지법 답안2

이해충돌방지법 Q&A 문제 질문 답변 18개 사적 이해관계자의 신고 회피 기피 관련 배경지식 category 바로가기 ! 클릭 ! 이해충돌방지법 Q&A 18. 문제 질문 답변 Q1. 공직자는 직무관련자가 사적이해관계자임을 안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신고하고 회피 신청해야 한다고 하는데, '안 날'은 어제를 말하는지? A1. ● 16개 유형의 직무를 수행하는 공직자는 직무관련자가 사적이해관계자임을 안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그 사실을 소속기관장에게 서면으로 신고하고 회피를 신청해야 할 의무가 발생함 - 이때 '안 날'이란 민원을 접수하거나 이를 보고받는 등의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인 방법을 통해 직무관련자가 사적이해관계자임을 현실적,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된 날을 의미할 것임 ● 신고 의무를 위반한 공직자에게 과태료(2천만 원) 부과시, 소속기관장이 위반 사실을 과태료 재판 관할 법원에 통보.. 2024. 3. 23.
이해충돌방지법 세부 내용 10가지 공직자 이해 충돌 방지법 알아보기 이해충돌방지법 목차 1. 이해충돌방지법 개요 2. 신고, 제출 의무 3. 제한, 금지 행위 4. 신고자 보호, 보상 1. 이해충돌방지법 개요 이해충돌방지법은 공직자의 직무수행과 관련한 사적 이익추구를 금지함으로써 공직자의 직무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이해충돌을 방지하여 공정한 직무수행을 보장하고 공공기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법이다. ※이해충돌방지법은 2021.5.18. 제정되어 2022.5.19. 부터 시행되었다. ■적용대상 - 국회, 법원, 중앙행저기관, 지자체, 공직유관단체, 공공기관, 교육청, 국공립학교 등 모든 공공기관 - 공무원, 공직유관단체, 공공긱관 임직원, 국공립학교장, 교직원 등 공직자 (사립학교 교직원, 언론인은 제외) 제2조 제1호 공공기관 제2조 제2호 공직자 국회,.. 2024. 2.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