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1. 다음 설명 중 정보보안생활수칙을 고려할 때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컴퓨터 작업 성능을 높이기 위해 실시간 감시기능을 잠시 끄는 것이 바람직하다.
② 첨부파일을 실행시키지 않는다면, 의심스러운 e-mail을 열람하는 것은 가능하다.
③ 웹사이트 방문 시 설치하는 프로그램은 인증ㅇ서 및 디지털 서명을 통해 신뢰성을 확인해야 한다.
④ 영문, 숫자, 특수기호로 조합된 패스워드는 변경하지 않더라도 안전하다.
해설 - 정답: ③
악성코드, 랜섬웨어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백신의 실시간 검사 기능은 항상 활성화되어야 한다. e-Mail 열람만으로 악성코드에 감염될 수 있으므로, 수상한 e-Mail은 열람하지 않아야 한다. 패스워드는 주기적(최소 분기 1회)으로 변경을 해야 한다.
Q2. 인터넷이 연결된 PC 사용과 관련된 행동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백신은 최신상태로 업데이트, 상시 감시상태로 설정하고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② 자료 수집을 할 때에는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사이트를 활용한다.
③ 파일공유 프로그램, 메신저 등 업무상 불필요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는다.
④ 출처가 불분명한 프로그램이라도 업무상 필요할 경우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해설 - 정답: ④
출처 및 제작자가 불분명한 프로그램은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업무용 프로그램은 정식적으로 승인된 프로그램만 사용해야 한다.
Q3. 다음 중 웹사이트 방문에 대한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① 웹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설치 프로그램은 안전하므로 무조건 설치해야 한다.
② 웹사이트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 웹사이트가 요구하는 설치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③ 웹사이트 방문 시 설치하는 프로그램은 인증서 및 디지털 서명을 참고하여 신뢰성 확인 후 설치한다.
④ 웹사이트에서 요구하는 설치 프로그램은 해당 웹사이트에서만 작동하므로 악성코드 감염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해설 - 정답: ③
해킹, 악성코드 등에 의해 조작된 웹사이트에서 설치하는 프로그램은 악성코드를 포함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인증서 및 디지털 서명을 참고하여 신뢰성이 확인된 프로그램만 설치해야 한다.
Q4. 이메일을 통해 파일을 주고받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① 중요한 자료는 신속성을 위해 이메일을 통해 주고 받는다.
② 중요한 자료는 반드시 이메일을 통해 주고 받는다.
③ 중요한 자료는 메일을 통해 주고받지 말고 불가피한 경우 메일 본문에 넣어 전송한다.
④ 중요한 자료는 메일을 통해 주고받지 말고 불가피한 경우 첨붚파일에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해설 - 정답: ④
상용메일을 이용하여 업무자료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한다. 업무자료를 메일을 통해서 송수신할 경우에는 기관메일을 사용하며, 활용 후 메일함에서 즉시 삭제를 하여야 한다.
Q5. 원격 근무지에 파견중인 직원 A씨의 전자정보 보안관리 방안으로 올바른 행동은?
① 정보시스템 고장 시 정보유출 방지 등 보안대책을 강구하면 정보보안담당관과 협의 없이 정비, 반납 조치를 취할 수 있다.
② 비공개 원격업무인 경우 소통자료를 암호화만 하면 충분하다.
③ 원격지에서는 개인용 저장매체 사용이 가능하다.
④ 해킹을 통한 업무자료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 수행 전 최신 백신으로 PC점검 등의 보안조치를 수행한다.
해설 - 정답: ④
악성코드, 해킹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사고 방지를 위하여 최신 백신으로 실시간 감시, 정밀검사 등의 보안조치를 수행하여야 한다.
Q6. 다음 중 e-mail을 안전하게 사용하는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① 실시간으로 e-mail 확인을 위해, 항상 로그인 상태를 유지한다.
② e-mail에 첨부된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해야 하는 경우, 다운로드해야 한다.
③ 출처가 의심스럽더라도 e-mail은 열람해야 한다.
④ 출처, 첨부파일이 의심스러운 e-mail은 열람하지 말고 삭제한다.
해설 - 정답: ④
의심되거나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은 열람하지 말고 삭제해야 하며, 해킹으로 의심되는 메일은 즉시 보안담당자에게 알려야 한다.
해킹 메일 열람 시 조치 요령: 랜선 즉시 분리 후 백신 검사 및 보안담당자 사고 신고
Q7. 다음 중 비밀번호 관리 행동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비밀번호는 주기적으로 변경한다.
② 비밀번호는 알파벳, 숫자, 특수기호 등을 조합하여 유추하기 어렵게 생성한다.
③ 어려운 비밀번호 관리를 위해 메모지에 비밀번호를 기록하여 모니터 앞에 붙인다.
④ 각 계정별로 비밀번호를 다르게 생성한다.
해설 - 정답: ③
비밀번호가 유출될 시 내부자료 유출 등 정보보안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리에 주의하여야 한다.
Q8. 다음 중 개인 컴퓨터 관리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① 개인 컴퓨터의 부팅 패스워드는 번거로우므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② 개인 컴퓨터에 부팅, 로그인, 화면보호기의 패스워드를 반드시 설정하고 사용한다.
③ 개인 컴퓨터는 개인만 사용하므로 로그인 패스워드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④ 개인 컴퓨터의 부팅, 로그인, 화면보호기 등의 패스워드는 모두 동일하게 설정한다.
해설 - 정답: ②
PC 보안관리를 위해 CMOS, 윈도우 등 비밀번호를 규칙에 맞춰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비밀번호 규칙: 숫자와 영문자, 특수문자 등을 혼합하여 9자리 이상)
Q9.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 외무 및 내부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접소한 사용자에 대해서도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내부자의 위협으로부터 시스템 등을 보호하기 위해 모니터링하고, 신원 확인 과정을 둔다. |
① 성과 해자(Castle and Moat)
②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③ 신뢰 확인(Verify Trust)
④ 보안 해자(Security and Moat)
해설 - 정답: ②
성과해자: 네트워크 외부의 누구도 내부의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없지만 네트워크 내부의 모든 사람은 액세스 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 모델
Q10. 랜섬웨어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수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모든 소프트웨어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② 이메일, 메신저 또는 문자메시지로 전달된 URL링크는 함부로 클릭하지 않는다.
③ 중요 자료는 PC내 하드디스크에만 보관한다.
④ 파일 공유 사이트 등에서 파일 다운로드 및 실행에 주의한다.
해설 - 정답: ③
중요한 자료는 생산 즉시 대외비를 등재하여 가급적으로 PC에 보관하지 않아야 한다.
Q11. 해커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피해자 PC의 키보드 입력정보를 갈취하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Exploits
② Backdoor
③ Keyloggers
④ Spyware
해설 - 정답: ③
Keyloggers는 키보드의 입력 내용을 저장하고 비밀정보를 탈취하는 프로그램이다.
Q12. 자료 저장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중요한 자료는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인터넷이 연결된 PC에 저장한다.
② 중요한 자료는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인터넷이 연결된 PC에 저장하지 않는다.
③ 중요한 자료는 패스워드를 설정 없이 저장하고 인터넷이 연결된 PC에 저장한다.
④ 중요한 자료는 패스워드를 설정 없이 저장하고 인터넷이 연결된 PC에 저장하지 않는다.
해설 - 정답: ②
중요한 자료는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보관하고, 인터넷 PC에 업무 자료는 보관하지 않는다.
Q13. 다음 중 안전한 USB 메모리 사용을 위한 행동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공인인증서는 별도의 USB에 인증서만을 저장하여 사용한다.
② USB 메모리 내의 자료는 패스워드를 잊어버려 복호화 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암호화하지 않고 보관한다.
③ USB 메모리 내의 자료는 문서 작성 프로그램의 '암호화 압축' 기능을 사용하여 암호화한다.
④ USB 메모리를 백신프로그램으로 수시로 검사 및 치료한다.
해설 - 정답: ②
일반 USB 메모리 분실 시 자료유출 등의 정보보안 사고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보안 USB를 사용하여야 한다.
Q14. 업무자료를 USB 메모리에 옮겨 보관하여 이용해야 할 경우의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① 개인 USB 메모리에 자료를 저장하여 이용한다.
② 개인의 보안 USB 메모리에 자료를 저장한다.
③ 등록된 USB 메모리를 관리자 승인 없이 이용한다.
④ 등록된 USB 메모리를 관리자의 허가를 받아 이용한 후 절차에 따라 반납한다.
해설 - 정답: ④
일반 USB 사용 시 사전에 정보보호부로 보안신청하거나, 보안 USB를 사용하여야 한다.
Q15. 다음 중 스마트폰 보안을 위한 행동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스마트폰 교체 시에는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스마트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모두 삭제해야 한다.
②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문자메시지나 이메일의 첨부파일과 인터넷 주소는 클릭하지 말고 삭제한다.
③ 백신 앱을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후 주기적으로 스마트폰을 점검한다.
④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APK파일을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해설 - 정답: ④
출처 및 제작자가 불분명한 프로그램은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구글스토어 등 정식적으로 승인된 프로그램을 통해 다운로드해야 한다.
Q16. 업무용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을 때 가장 먼저 조치해야 할 사항은?
① 정상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 외부업체에 즉시 수리를 의뢰한다.
② 백신 등을 업데이트하여 악성코드를 바로 삭제하고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③ 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고 사고 관련 자료를 삭제하거나 포맷하지 않는다.
④ 사고가 더 이상 전파되지 않도록 감염 시스템을 임의 포맷한다.
해설 - 정답: ③
업무용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되었을 때 바이러스가 확산될 수 있으므로 가장 먼저네트워크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정보보안담당자에게 즉시 신고하여 악성코드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Q17. 다음 중 소프트웨어 설치 및 이용 관련하여 올바른 것은?
① 설치 후 1년에 한 번씩 업데이트한다.
② 설치 후 자동 업데이트 하도록 한다.
③ 설치 후 다음 번 제품 설치 시까지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다.
④ 설치하면 다시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 - 정답: ②
PC 보안관리를 위해 허가한 응용프로그램 및 백신프로그램은 항상 최신으로 업데이트하여 악성코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Q18. 다음은 바이러스 및 악성 프로그램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이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① 웜 바이러스는 자기 복제 및 자체 메일 전송이 가능해 이메일이나 IRC(Internet Relay Chatting)를 통해 순식간에 전파될 수 있다.
② DDos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반 사용자가 받을 수 없도록 네트워크 트래픽 양을 증가시켜서 서비스 제공이 마비되도록 하는 공격이다.
③ 컴퓨터 바이러스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시스템에 피해를 주는데 반해, 트로이목마 프로그램은 특정 시스템에서만 피해를 준다.
④ 백신소프트웨어는 모든 악성프로그램 차단하기 때문에 반드시 설치해야 할 보안 프로그램에 해당된다.
해설 - 정답: ④
PC 보안관리를 위해 백신소프트웨어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Q19. 다음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을 모두 고르시오.
㉮ 특수목적을 가진 조직이 특정 표적에 대해 정보 수집, 취약점 분석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도하는 공격을 의미한다. ㉯ 일반적인 해킹기법과 사회공학적 기법 등 다양한 공격 기법을 정교하게 복합적으로 사용한다. ㉰ 공격대상이 특정 정보를 가진 개인, 기업에서 국가 기반시설로 확대되고 있다. ㉱ 다른 해킹 공격에 비하여 공격기간이 짧아 매우 위험하다. |
해설 - 정답: ㉮, ㉯, ㉰
APT 해커가 특정 기업이나 조직의 네트워크에 지속적으로 가하는 공격을 뜻한다. 특징은 지속성과 은밀성이다. 공격기간은 평균 1년으로, 길게는 5년 가까이 공격을 하는 경우도 있다.
Q20. 다음 중 중요한 자료의 관리에 대한 행동으로 올바른 것은?
① 중요한 자료는 메일을 통해 주고받으면 안전하기 때문에, 개인 메일을 통해서 주고받아야 한다.
② 중요한 자료는 메일을 통해 주고받지 말고 불가피한 경우 첨부파일에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한다.
③ CD와 USB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에 중요한 자료를 보관한다.
④ 중요한 자료는 여러 폴더를 생성하여 많이 저장한다.
해설 - 정답: ②
상용메일을 이용하여 업무자료를 송,수신하지 않도록 한다. 업무자료를 메일을 통해서 송,수신할 경우에는 기관메일을 사용하며, 활용 후 메일함에서 즉시 삭제를 하여야 한다. CD와 USB와 같은 휴대용 저장매체는 분실 위험이 있으므로, 중요자료는 가급적으로 보관하지 않아야 한다. 중요한 자료는 생산 즉시 대외비를 등재하여 가급적이면 PC에 보관하지 않아야 한다.
'문제, 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2026 정보보안 기본수칙 문제은행 DDoS Malware 제로데이 (6) | 2025.03.21 |
---|---|
공공공기관 정보보안 문제은행82 제로데이 스파이웨어 비밀취급인가 (3) | 2025.03.14 |
PC 사이버 정보보안 기본수칙 숙지사항 82문제 해킹 악성코드 랜섬웨어 비밀번호 설정 (4) | 2025.02.26 |
2024 안전보건교육 하반기 현장근로자 서비스업 시험 답안 시험답 정답 2025 (15) | 2024.09.23 |
2024 알기쉬운 이해충돌방지법 온라인교육 법정교육 문제 답안 고위공직자 (5) | 2024.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