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간이식2

간내 담도암 진단 혈액검사 치료방법 3가지 조직검사 간절제술 간이식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목차 1. 간내 담도암 발생부위, 정의 및 종류 관련통계 2. 간내 담도암 예방 (위험요인, 예방법, 조기검진) 3. 간내 담도암 진단 (일반적 증상, 진단방법, 진행단계) 4. 간내 담도암 치료 (치료의 부작용, 재발 및 전이, 치료현황) 1. 간내 담도암 발생부위, 정의 및 종류, 관련통계 ▶ 발생부위 ■ 간의 기능 인체의 화학 공장으로 불리는 간은 체내의 다양하고 복잡한 물질대사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수화물 대사, 아미노산과 단백질 대사, 지방 대사, 비타민 무기지로가 호르몬의 대사, 담즙산과 빌리루빈(bilirubin, 담즙의 색소를 이루는 물질) 대사 등을 맡고 있는가 하면 체내로 들어온 화학물질을 해독하고 침입한 세균을 파괴하며, 혈액응고인자를 합성하고 혈액량을 조절하는 등 숱.. 2024. 3. 31.
간암 치료방법 간절제술 간이식 국소치료술 TNM 간암 치료방법 간절제술 간이식 국소치료술 TNM ◎개요 간암 치료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은 간암 환자 중 다수가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증을 지녔고, 따라서 간의 기능이 저하돼 있어서 암 치료에 걸림돌이 된다는 사실이다. 간을 이식하지 않는 한 간염이나 간경변증은 계속 남아서 치료 후에도 간암의 재발을 초래하곤 한다. 2018년에 대한간암학회는 국립암센터와 함께 국내외 연구 결과와 최신 치료법을 토대로 한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을 개졍했다. 간암 치료에 관한 아래의 내용은 이 지침을 근간으로 한 것이다. 간암으로 진단되면 암의 진행 정도(TNM 병기), 간의 기능 정도(차일드-퓨 등급), 전신 상태(수행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침을 정하게 된다. 간암이 너무 많이 진행된 상태에서 발.. 2023. 12. 1.
728x90
반응형